'get to work'와 'go to work'의 의미에 어떤 차이가 있나요?

Ernest Bio Bogore

Written by

Ernest Bio Bogore

Ibrahim Litinine

Reviewed by

Ibrahim Litinine

'get to work'와 'go to work'의 의미에 어떤 차이가 있나요?

'get to work'는 직장에 도착하거나 일을 시작하는 것을 의미하며, 'go to work'는 출근하거나 직장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get to work'와 'go to work'의 주요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이 두 표현의 가장 큰 차이점은 행동의 초점에 있습니다. 'get to work'는 최종 목적지인 직장에 도착하는 것과 실제 업무를 시작하는 행위에 중점을 둡니다. 반면 'go to work'는 집에서 직장으로 향하는 이동 과정 자체를 강조합니다.

예시:

  • "I usually get to work by 9 AM" (보통 직장에 9시까지 도착합니다)
  • "I go to work by subway every day" (매일 지하철을 타고 출근합니다)

'get to work'와 'go to work'는 어떤 상황에서 사용하나요?

'get to work'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도착 시간을 언급할 때: "I need to get to work early tomorrow"
  • 업무 시작을 나타낼 때: "Let's get to work on this project"

'go to work'는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일상적인 출근을 설명할 때: "I go to work five days a week"
  • 이동 수단을 언급할 때: "I usually go to work by car"

'get to work'와 'go to work'를 사용하는 실제 상황 예시

'get to work' 사용 예시:

  • 비즈니스 상황: "The client meeting is at 10 AM, so I need to get to work by 9:30 to prepare" (고객 미팅이 10시라서 준비를 위해 9시 30분까지는 회사에 도착해야 해요)
  • 일상적 상황: "With this heavy traffic, I might not get to work on time" (이 심한 교통체증 때문에 제시간에 도착하지 못할 것 같아요)

'go to work' 사용 예시:

  • 비즈니스 상황: "After the pandemic, employees can choose whether to go to work or work from home" (팬데믹 이후, 직원들은 출근할지 재택근무를 할지 선택할 수 있어요)
  • 일상적 상황: "I don't go to work on weekends" (저는 주말에는 출근하지 않아요)

'get to work'와 'go to work' 사용 시 주의할 점

  1. 'get to work'를 단순히 출근 과정을 설명할 때 사용하지 마세요. "I get to work by bus"는 부자연스러우며, 대신 "I go to work by bus"를 사용해야 합니다.
  2. 'go to work'를 도착 시간을 명시할 때 사용하지 마세요. "I go to work at 9 AM"보다는 "I get to work at 9 AM"이 더 자연스럽습니다.

'get to work'와 'go to work' 대신 사용할 수 있는 4가지 표현

'get to work' 대신 사용할 수 있는 표현:

  • arrive at work: "I usually arrive at work before my colleagues" (보통 동료들보다 먼저 회사에 도착해요)
  • make it to work: "Despite the snow, I managed to make it to work" (눈이 왔지만 어떻게든 회사에 도착했어요)

'go to work' 대신 사용할 수 있는 표현:

  • head to work: "I usually head to work around 8 AM" (보통 8시쯤 출근하러 나가요)
  • commute to work: "It takes me an hour to commute to work" (출근하는 데 1시간이 걸려요)

Kylian AI로 24시간 프라이빗 영어 수업 받기

Kylian은 언제 어디서나 프라이빗 영어 레슨을 제공합니다. 학습하고 싶은 주제를 입력하면 Kylian이 구조화된 수업을 만들어줍니다. 수업 중에 Kylian은 해당 주제에 대해 알아야 할 내용, 뉘앙스, 한국어와 영어의 문화적 차이, 문법 규칙을 가르쳐줍니다.

더 중요한 것은, Kylian과 함께 롤플레이를 하면서 영어 회화와 발음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입니다. 원하는 만큼 질문을 할 수도 있습니다. 지금 Kylian AI를 사용해보세요.

Similar Content You Might Want To Read

‘would be’와 ‘could be’의 차이점이 뭔가요?

‘would be’와 ‘could be’의 차이점이 뭔가요?

'would be'는 미래에 대한 예측이나 가정을 표현할 때 사용되며, 'could be'는 가능성이나 능력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두 표현 모두 영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조동사 표현입니다.

‘It’ll be about two hours’에서 ‘hours’는 ‘s’가 들어가는데 다른 문장에서 ‘hour’는 ‘s’가 안 들어가는데 이 차이점이 뭔가요?

‘It’ll be about two hours’에서 ‘hours’는 ‘s’가 들어가는데 다른 문장에서 ‘hour’는 ‘s’가 안 들어가는데 이 차이점이 뭔가요?

영어에서 'hour'는 시간을 나타내는 단위인데, 단수일 때는 's'를 붙이지 않고, 복수일 때는 's'를 붙입니다. 예를 들어 'one hour'는 한 시간을 의미하고, 'two hours'는 두 시간을 의미합니다.

미국에서 '중학교'는 'Middle school'이라고 하나요, 'Junior high school'이라고 하나요?

미국에서 '중학교'는 'Middle school'이라고 하나요, 'Junior high school'이라고 하나요?

영어에서 'middle school'과 'junior high school'은 모두 한국의 중학교 과정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middle school'은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사이의 교육 과정을, 'junior high school'은 고등학교 이전 단계의 교육 과정을 의미합니다.

유치원은 ‘Daycare’가 아니라 ‘Kindergarten’이라고 하나요? 그리고 유치원 끝나고 가는 곳은 어떻게 표현하나요?

유치원은 ‘Daycare’가 아니라 ‘Kindergarten’이라고 하나요? 그리고 유치원 끝나고 가는 곳은 어떻게 표현하나요?

영어에서 'kindergarten'은 5-6세 아이들이 다니는 정규 교육과정의 첫 단계를 의미하며, 'daycare'는 영유아부터 취학 전 아동을 돌보는 보육 시설을 의미합니다. 특히 한국의 유치원과 가장 비슷한 개념은 'kindergarten'입니다.

너무 헷갈리는 find VS look for 차이점 총정리!

너무 헷갈리는 find VS look for 차이점 총정리!

영어에서 'find'는 무언가를 발견하거나 찾아낸 결과를 의미하며, 'look for'는 무언가를 찾는 과정이나 행위를 의미합니다. 두 표현 모두 '찾다'라고 번역되지만, 사용되는 맥락과 의미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Our’, ‘We’, ‘Us’는 언제 어떻게 쓰는 건가요?

‘Our’, ‘We’, ‘Us’는 언제 어떻게 쓰는 건가요?

영어에서 'We'는 주격 대명사로 '우리'를 의미하며, 'Us'는 목적격 대명사로 '우리를'을 의미합니다. 'Our'는 소유격으로 '우리의'를 의미합니다. 이 세 단어는 모두 복수의 사람들을 지칭할 때 사용되지만, 문장에서의 역할이 각각 다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