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하다, 통화중이다' 영어로 표현하기 – call 아님 주의!

Ernest Bio Bogore

Written by

Ernest Bio Bogore

Ibrahim Litinine

Reviewed by

Ibrahim Litinine

'전화하다, 통화중이다' 영어로 표현하기 – call 아님 주의!

영어 원어민들이 '전화하다', '통화중이다'를 표현할 때 단순히 'call'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들어보셨나요? 걱정하지 마세요. 영어에서 '전화하다'와 '통화중이다'를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화하다, 통화중이다'는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나요?

'전화하다'와 '통화중이다'는 일상생활에서 매우 흔하게 사용되지만, 영어에서는 상황과 맥락에 따라 다양한 표현이 사용됩니다.

  1. 전화를 걸다/시작하다: 영어에서는 주로 'make a call', 'give someone a call', 'place a call'과 같은 표현을 사용합니다. 단순히 'call'이라고만 하지 않고 더 구체적인 표현을 사용합니다. 예시: "I'll make a call to the restaurant to reserve a table." (레스토랑에 테이블을 예약하기 위해 전화를 걸겠습니다.)
  2. 통화 중인 상태: 'on the phone', 'on a call', 'in a call'과 같은 표현으로 현재 통화 중임을 나타냅니다. 예시: "I can't talk right now, I'm on the phone with a client." (지금 얘기할 수 없어요, 고객과 통화 중이에요.)
  3. 연락하다: 단순히 누군가에게 연락하는 의미로는 'reach out to', 'get in touch with'와 같은 표현을 사용합니다. 예시: "I'll reach out to him later today." (오늘 나중에 그에게 연락할게요.)

'전화하다, 통화중이다'를 원어민처럼 사용하는 방법과 예시

'전화하다'와 '통화중이다'를 영어로 표현할 때는 다음과 같은 문법 구조와 뉘앙스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Give someone a call": 누군가에게 전화를 걸 때 사용하는 가장 일상적인 표현입니다. 예시: "I'll give you a call tomorrow morning." (내일 아침에 전화 드리겠습니다.) 한국어 번역: "내일 아침에 전화 드리겠습니다."
  2. "On the phone": 전치사 'on'을 사용하여 통화 중인 상태를 표현합니다. 예시: "She's been on the phone for an hour." (그녀는 한 시간 동안 통화 중이었어요.) 한국어 번역: "그녀는 한 시간 동안 통화 중이었어요."
  3. "Call + back": 부사 'back'을 추가하여 다시 전화하는 의미를 표현합니다. 예시: "I'll call you back in five minutes." (5분 후에 다시 전화할게요.) 한국어 번역: "5분 후에 다시 전화할게요."
  4. "Hold on": 통화 중 잠시 기다려 달라는 표현입니다. 예시: "Could you hold on for a moment, please?" (잠시만 기다려 주시겠어요?) 한국어 번역: "잠시만 기다려 주시겠어요?"

'전화하다, 통화중이다' 대신 사용할 수 있는 4가지 표현

  1. Ring/Ring up: 영국식 영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표현으로, 전화를 걸다는 의미입니다. 예시: "I'll ring you tomorrow about the project." (내일 프로젝트에 관해 전화할게요.) 한국어 번역: "내일 프로젝트에 관해 전화할게요."
  2. Dial: 특정 번호를 눌러 전화를 거는 행위를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 예시: "Please dial extension 203 for customer service." (고객 서비스는 203번으로 전화해 주세요.) 한국어 번역: "고객 서비스는 203번으로 전화해 주세요."
  3. Touch base: 간단히 연락하여 상황을 확인하는 의미로 비즈니스 상황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예시: "Let's touch base next week to discuss our progress." (다음 주에 진행 상황을 논의하기 위해 연락합시다.) 한국어 번역: "다음 주에 진행 상황을 논의하기 위해 연락합시다."
  4. Get back to: 나중에 다시 연락한다는 의미로, 특히 질문이나 요청에 대한 응답을 약속할 때 사용합니다. 예시: "I'll get back to you with the information by tomorrow." (내일까지 정보를 가지고 연락드리겠습니다.) 한국어 번역: "내일까지 정보를 가지고 연락드리겠습니다."

공식적/비공식적 상황에서 '전화하다, 통화중이다' 사용하기

공식적 상황:

  1. 비즈니스 미팅 일정 잡기: 예시: "I'd like to schedule a call with you to discuss the proposal in detail." (제안서에 대해 자세히 논의하기 위한 통화 일정을 잡고 싶습니다.) 한국어 번역: "제안서에 대해 자세히 논의하기 위한 통화 일정을 잡고 싶습니다."
  2. 고객 응대 상황: 예시: "I'm currently on another line. May I place you on hold briefly or would you prefer I return your call?" (현재 다른 통화 중입니다. 잠시 대기해 주시겠습니까, 아니면 제가 다시 연락드리는 것이 좋을까요?) 한국어 번역: "현재 다른 통화 중입니다. 잠시 대기해 주시겠습니까, 아니면 제가 다시 연락드리는 것이 좋을까요?"

비공식적 상황:

  1. 친구와의 약속: 예시: "Shoot me a text when you're free and I'll give you a buzz." (시간 될 때 문자 보내줘, 그때 전화할게.) 한국어 번역: "시간 될 때 문자 보내줘, 그때 전화할게."
  2. 가족 상황: 예시: "Mom's tied up on the phone with grandma, she'll call you back in a bit." (엄마가 할머니랑 통화 중이야, 조금 있다가 다시 전화할 거야.) 한국어 번역: "엄마가 할머니랑 통화 중이야, 조금 있다가 다시 전화할 거야."

'전화하다, 통화중이다' 사용 시 피해야 할 흔한 실수

  1. 단순히 'Call'만 사용하는 실수: 틀린 예시: "I will call you." (직역하면 맞지만, 원어민들은 주로 "I'll give you a call" 또는 "I'll call you back"과 같이 더 자연스러운 표현을 사용합니다.) 한국어 번역: "전화할게요." 올바른 예시: "I'll give you a call later this evening." (오늘 저녁에 전화 드리겠습니다.) 한국어 번역: "오늘 저녁에 전화 드리겠습니다."
  2. 'Call with'과 'Call to'의 혼동: 틀린 예시: "I'm in a call to my boss." ('call to'는 전화를 거는 행위를 의미하므로 현재 통화 중인 상태를 표현하기에 적절하지 않습니다.) 한국어 번역: "상사와 통화 중입니다." 올바른 예시: "I'm on a call with my boss." (상사와 통화 중입니다.) 한국어 번역: "상사와 통화 중입니다."

Kylian AI로 24시간 개인 영어 수업 받기

Kylian은 언제 어디서나 개인 영어 레슨을 제공합니다. 배우고 싶은 주제를 입력하면 Kylian이 구조화된 수업을 만들어 줍니다. 수업 중에 Kylian은 해당 주제에 대해 알아야 할 점, 뉘앙스, 한국어와 영어의 문화적 차이, 문법 규칙 등을 가르쳐 줍니다.

더 중요한 것은, Kylian과 함께 롤플레이를 통해 영어 회화와 발음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원하는 만큼 Kylian에게 질문할 수 있습니다. 지금 Kylian AI를 사용해 보세요 (https://app.kylian.ai).

Similar Content You Might Want To Read

'for'와 'to'를 사용할 때의 차이가 뭔가요?

'for'와 'to'를 사용할 때의 차이가 뭔가요?

영어에서 'for'는 목적이나 대상을 나타내는 전치사로 사용되며, 'to'는 방향, 목적지, 또는 불정사를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두 단어 모두 영어에서 매우 자주 사용되는 필수적인 전치사입니다.

'older'와 'elder'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older'와 'elder'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영어에서 'older'는 나이가 더 많다는 의미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elder'는 같은 가족이나 집단 내에서 나이가 더 많은 사람을 지칭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client’와 ‘customer’는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client’와 ‘customer’는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영어에서 'client'는 전문적인 서비스나 조언을 받는 사람을 의미하며, 'customer'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사람을 일컫습니다.

‘Bus stop’과 ‘bus station’은 같은 건가요?

‘Bus stop’과 ‘bus station’은 같은 건가요?

[서론] 영어에서 'bus stop'은 버스가 잠시 정차하는 곳을 의미하며, 'bus station'은 여러 버스 노선이 모이는 터미널과 같은 시설을 의미합니다. 두 곳 모두 버스와 관련된 장소이지만 그 규모와 기능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Our’, ‘We’, ‘Us’는 언제 어떻게 쓰는 건가요?

‘Our’, ‘We’, ‘Us’는 언제 어떻게 쓰는 건가요?

영어에서 'We'는 주격 대명사로 '우리'를 의미하며, 'Us'는 목적격 대명사로 '우리를'을 의미합니다. 'Our'는 소유격으로 '우리의'를 의미합니다. 이 세 단어는 모두 복수의 사람들을 지칭할 때 사용되지만, 문장에서의 역할이 각각 다릅니다.

'its'는 왜 붙나요?

'its'는 왜 붙나요?

영어로 글을 쓰거나 읽을 때 'its'가 자주 등장하는데 정확히 언제 써야 할지 모르시나요? 'its'는 단순히 '~의'라고 해석하면 될 것 같은데, 실제로는 사용법이 꽤 까다롭습니다. 오늘은 'its' 사용법을 명확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