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합격했어!!!!’ 합격의 순간을 영어로 표현하기

Ernest Bio Bogore

Written by

Ernest Bio Bogore

Ibrahim Litinine

Reviewed by

Ibrahim Litinine

‘나 합격했어!!!!’ 합격의 순간을 영어로 표현하기

영어 원어민들이 합격이나 성공의 순간을 표현할 때 어떤 말을 사용하는지 궁금하신가요? 걱정하지 마세요. 영어에서 '합격했다'는 의미를 전달하는 다양한 표현들이 있습니다. 시험, 면접, 입학 지원 등 다양한 상황에서 자신의 성공을 알리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합격'이 어떤 맥락에서 사용되나요?

영어에서 합격이나 성공을 표현하는 방식은 상황과 맥락에 따라 달라집니다:

  1. 학업 관련 합격: 학교 입학, 시험 통과 등과 같은 교육적 맥락에서의 합격을 표현할 때는 더 공식적인 표현들이 사용됩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성취감과 함께 미래에 대한 기대감이 담긴 표현이 적합합니다. 예시: "I got accepted to Seoul National University!" 한국어 번역: "나 서울대학교에 합격했어!"
  2. 취업 관련 합격: 취업 면접이나 채용 과정에서의 성공을 알릴 때는 전문적이면서도 자신의 기쁨을 표현하는 방식이 중요합니다. 이는 단순한 합격을 넘어 새로운 경력의 시작을 의미합니다. 예시: "They offered me the position! I start next month." 한국어 번역: "그들이 내게 자리를 제안했어! 다음 달부터 시작해."
  3. 일상적인 성공: 작은 테스트나 도전에서의 성공을 표현할 때는 더 캐주얼하고 즉흥적인 표현들이 사용됩니다. 이런 표현들은 친구나 가족과의 일상 대화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예시: "I passed the driving test on my first try!" 한국어 번역: "첫 시도에 운전면허 시험에 합격했어!"

원어민처럼 '합격' 표현하는 방법과 예시

합격을 알리는 영어 표현에는 다양한 문법적 구조와 뉘앙스가 있습니다:

  1. "I got + 과거분사" 구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태로, 무언가를 획득했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예시: "I got accepted to the graduate program!" 한국어 번역: "대학원 프로그램에 합격했어!"
  2. "I passed + 명사" 구조: 시험이나 테스트와 같은 평가를 성공적으로 통과했을 때 주로 사용합니다. 예시: "I passed the final exam with flying colors." 한국어 번역: "최종 시험을 아주 훌륭하게 통과했어."
  3. "I made it + 전치사구" 구조: 어려운 과정을 거쳐 목표에 도달했음을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 예시: "I made it into the top 10 finalists!" 한국어 번역: "나 상위 10명의 결승진출자에 들었어!"
  4. "I'm in!" 간결한 표현: 특히 대화에서 빠르게 기쁨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짧고 강렬한 표현입니다. 예시: "Did you hear back from the university?" "Yes, I'm in!" 한국어 번역: "대학교에서 연락 받았어?" "응, 합격했어!"

'합격했다'고 말하는 4가지 자연스러운 표현

  1. "I got the green light" (승인을 받았다는 의미): 예시: "After three rounds of interviews, I finally got the green light from the hiring manager." 한국어 번역: "세 차례의 면접 끝에, 마침내 채용 담당자로부터 승인을 받았어."
  2. "I nailed it" (완벽하게 해냈다는 의미): 예시: "The presentation was tough, but I nailed it and secured the client." 한국어 번역: "프레젠테이션은 어려웠지만, 완벽하게 해내서 고객을 확보했어."
  3. "I made the cut" (선발 기준을 통과했다는 의미): 예시: "Over 500 people applied, but I made the cut for the final interview stage." 한국어 번역: "500명 이상이 지원했지만, 나는 최종 면접 단계에 선발됐어."
  4. "I'm officially on board" (공식적으로 합류했다는 의미): 예시: "Great news! I'm officially on board with the research team at Samsung." 한국어 번역: "좋은 소식이야! 나는 공식적으로 삼성의 연구팀에 합류하게 됐어."

공식적 및 비공식적 상황에서 '합격' 표현법

공식적 상황:

  1. 비즈니스 이메일 맥락: 예시: "I am pleased to inform you that I have accepted the position of Marketing Director at your esteemed company." 한국어 번역: "귀사의 마케팅 디렉터 직책을 수락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합니다."
  2. 학술적 맥락에서의 합격 통보: 예시: "I am writing to confirm my acceptance of the scholarship offer for the upcoming academic year." 한국어 번역: "다가오는 학년도 장학금 제안을 수락함을 확인하기 위해 글을 씁니다."

비공식적 상황:

  1. 친구들과의 SNS 대화: 예시: "Guess what? I crushed the interview and got the job on the spot!" 한국어 번역: "있잖아? 면접을 완전 잘 봐서 그 자리에서 채용됐어!"
  2. 가족에게 합격 소식 전하기: 예시: "Mom, Dad, you won't believe it – I'm going to Harvard! Just got the acceptance letter!" 한국어 번역: "엄마, 아빠, 믿기 힘들 거야 - 나 하버드 갈 거야! 방금 합격 통지서 받았어!"

'합격' 표현 시 피해야 할 일반적인 실수

  1. 너무 자만하게 들리는 표현 사용: 잘못된 예시: "I was obviously the best candidate, so I got the job while others failed." 한국어 번역: "나는 분명히 최고의 후보자였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이 실패한 반면 나는 그 일자리를 얻었어." 수정: 성공을 축하하되 겸손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I'm fortunate to have been selected for the position."(그 자리에 선발되어 운이 좋았습니다)와 같은 표현이 더 적절합니다.
  2. 합격과 관련된 전문 용어 오용: 잘못된 예시: "I have been admitted the university program yesterday." 한국어 번역: "나는 어제 대학 프로그램에 admitted 되었어." 수정: 적절한 전치사를 사용해야 합니다. "I have been admitted to the university program yesterday."(나는 어제 대학 프로그램에 입학 허가를 받았어)가 올바른 표현입니다.

Kylian AI로 24/7 영어 개인 수업 받기

Kylian은 언제 어디서나 개인 영어 레슨을 제공합니다. 배우고 싶은 주제를 입력하면 Kylian이 구조화된 수업을 만들어 드립니다. 수업 중에 Kylian은 해당 주제에 대해 알아야 할 것, 뉘앙스, 한국어와 영어 사이의 문화적 차이, 그리고 문법 규칙을 가르쳐 드립니다.

더 중요한 것은, Kylian과 함께 롤플레이를 통해 영어 말하기와 발음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원하는 만큼 Kylian에게 질문할 수 있습니다. 지금 Kylian AI 시작하기.

Similar Content You Might Want To Read

'I have'와 'I have been'의 차이점이 뭔가요?

'I have'와 'I have been'의 차이점이 뭔가요?

'I have'는 현재완료 시제로 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며, 'I have been'은 현재완료진행형으로 과거부터 현재까지 계속 진행되고 있는 상태나 행동을 표현합니다.

'for'와 'to'를 사용할 때의 차이가 뭔가요?

'for'와 'to'를 사용할 때의 차이가 뭔가요?

영어에서 'for'는 목적이나 대상을 나타내는 전치사로 사용되며, 'to'는 방향, 목적지, 또는 불정사를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두 단어 모두 영어에서 매우 자주 사용되는 필수적인 전치사입니다.

‘Underdog’ 무슨 뜻인지 감도 안 잡힌다고?

‘Underdog’ 무슨 뜻인지 감도 안 잡힌다고?

영어 원어민들이 'underdog'을 사용하는 것을 들어보셨지만 정확한 의미를 모르시나요? 걱정하지 마세요. 영어에서 'underdog'은 '약자', '열세에 있는 사람이나 팀', '승산이 없어 보이는 참가자'를 의미합니다.

미국 드라마에서 자주 나오는 ‘dude’는 무슨 의미인가요?

미국 드라마에서 자주 나오는 ‘dude’는 무슨 의미인가요?

영어 원어민들이 "dude"라고 말하는 걸 들어보셨나요? 걱정 마세요. "dude"는 원래 '남자'를 지칭하는 단어였지만, 현대 영어에서는 성별에 관계없이 친근하게 사용되는 비격식 표현이에요. 특히 미국 영어에서 매우 자주 사용되며, 상황에 따라 다양한 감정과 뉘앙스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have', 'has', 'had'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have', 'has', 'had'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영어에서 'have'는 소유하다, 가지다의 의미로 사용되며, 'has'는 3인칭 단수 현재형이고, 'had'는 과거형입니다. 이 세 단어는 영어의 기본적인 동사 중 하나인 'have'의 다양한 형태입니다.

허리를 영어로 ‘waist’라고 하는데 왜 ‘back’이라는 단어를 쓰나요? ‘back’말고 등을 뜻하는 다른 영어단어는 없나요?

허리를 영어로 ‘waist’라고 하는데 왜 ‘back’이라는 단어를 쓰나요? ‘back’말고 등을 뜻하는 다른 영어단어는 없나요?

영어에서 'waist'는 몸의 허리 부분을 의미하며, 'back'은 등과 허리를 포함한 전체 후면부를 지칭합니다. 두 단어는 신체의 다른 부위를 나타내지만 때로는 맥락에 따라 비슷한 의미로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