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에서 자주 쓰는 “다행이야” 영어로 표현하기

Written by
Ernest Bio Bogore

Reviewed by
Ibrahim Litinine

영어 원어민들이 "다행이야"라는 표현을 어떻게 말하는지 궁금하신가요? 걱정 마세요. 영어에서 "다행이야"는 안도감이나 기쁨을 표현할 때 사용되는 다양한 표현이 있습니다. 한국어에서 "다행이야"라고 할 때의 감정과 상황을 영어로는 여러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다행이야"는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나요?
"다행이야"는 주로 세 가지 맥락에서 사용됩니다. 각 상황마다 영어 표현이 미묘하게 달라집니다.
첫째, 위험이나 나쁜 상황을 피했을 때 안도감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Thank goodness" 또는 "What a relief"와 같은 표현이 적합합니다.
예시: "The bus came just in time. Thank goodness!" (버스가 딱 제시간에 왔네. 다행이야!)
둘째, 예상보다 좋은 결과가 발생했을 때 기쁨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Fortunately" 또는 "Luckily"와 같은 표현이 자연스럽습니다.
예시: "Fortunately, I passed the exam." (다행히도, 시험에 합격했어.)
셋째, 다른 사람의 행운이나 좋은 상황에 대해 공감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이 경우에는 "I'm glad" 또는 "That's great"와 같은 표현이 어울립니다.
예시: "You found your lost wallet? I'm glad to hear that!" (잃어버린 지갑을 찾았어? 다행이네!)
원어민처럼 "다행이야" 표현하기 (예시와 함께)
"다행이야"를 영어로 표현할 때 문법적 구조와 뉘앙스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문장 앞에 부사로 사용하기: 예시: "Fortunately, nobody was hurt in the accident." (다행히도, 사고에서 아무도 다치지 않았어.) 한국어 번역: "다행히도, 사고에서 아무도 다치지 않았어."
- 감탄문으로 사용하기: 예시: "Thank goodness you're safe!" (네가 안전해서 다행이야!) 한국어 번역: "네가 안전해서 다행이야!"
- 독립적인 문장으로 사용하기: 예시: "What a relief! I thought I'd lost my passport." (다행이야! 여권을 잃어버린 줄 알았어.) 한국어 번역: "다행이야! 여권을 잃어버린 줄 알았어."
- 'That' 구문으로 사용하기: 예시: "It's a good thing that you called first." (네가 먼저 전화해서 다행이야.) 한국어 번역: "네가 먼저 전화해서 다행이야."
"다행이야" 대신 사용할 수 있는 4가지 자연스러운 표현
- "What a relief" - 특히 스트레스나 걱정이 해소됐을 때 사용합니다. 예시: "What a relief! The test wasn't as difficult as I expected." (다행이야! 시험이 생각했던 것만큼 어렵지 않았어.) 한국어 번역: "다행이야! 시험이 생각했던 것만큼 어렵지 않았어."
- "Thank goodness" - 감사함과 안도감을 동시에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예시: "Thank goodness you remembered to bring your ID." (네가 신분증 가져오는 걸 기억해서 다행이야.) 한국어 번역: "네가 신분증 가져오는 걸 기억해서 다행이야."
- "I'm so glad" - 개인적인 기쁨이나 안도감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예시: "I'm so glad you could make it to the meeting." (네가 회의에 참석할 수 있어서 다행이야.) 한국어 번역: "네가 회의에 참석할 수 있어서 다행이야."
- "It's a good thing" - 어떤 행동이나 상황이 좋은 결과를 가져왔음을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 예시: "It's a good thing we left early, or we would have been stuck in traffic." (일찍 출발해서 다행이야, 그렇지 않았으면 교통체증에 갇혔을 거야.) 한국어 번역: "일찍 출발해서 다행이야, 그렇지 않았으면 교통체증에 갇혔을 거야."
공식적인 상황과 비공식적인 상황에서 "다행이야" 사용하기
공식적인 상황:
- 비즈니스 미팅에서: 예시: "Fortunately, our team was able to complete the project ahead of schedule." (다행히도, 우리 팀은 일정보다 앞서 프로젝트를 완료할 수 있었습니다.) 한국어 번역: "다행히도, 우리 팀은 일정보다 앞서 프로젝트를 완료할 수 있었습니다."
- 고객 서비스 상황에서: 예시: "I'm pleased to inform you that we've resolved the issue with your account." (고객님의 계정 문제를 해결했다는 것을 알려드리게 되어 다행입니다.) 한국어 번역: "고객님의 계정 문제를 해결했다는 것을 알려드리게 되어 다행입니다."
비공식적인 상황:
- 친구와의 대화에서: 예시: "Phew! Thank goodness we caught the last train!" (휴! 마지막 기차를 탈 수 있어서 다행이야!) 한국어 번역: "휴! 마지막 기차를 탈 수 있어서 다행이야!"
- 가족 모임에서: 예시: "What a relief! I thought nobody would like my cooking, but everyone loved it!" (다행이야! 아무도 내 요리를 좋아하지 않을 줄 알았는데, 모두가 좋아했어!) 한국어 번역: "다행이야! 아무도 내 요리를 좋아하지 않을 줄 알았는데, 모두가 좋아했어!"
"다행이야" 사용 시 피해야 할 흔한 실수들
- "Lucky"와 "Fortunate"의 혼동: "I'm lucky" 대신 "I'm fortunate"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적절한 경우가 있습니다. "Lucky"는 운이 좋은 상황을 의미하고, "Fortunate"은 더 심각한 상황에서 좋은 결과를 얻었을 때 사용합니다. 잘못된 예시: "I'm lucky that I survived the car crash." (차 사고에서 살아남아서 운이 좋아.) 한국어 번역: "차 사고에서 살아남아서 운이 좋아." 올바른 예시: "I'm fortunate that I survived the car crash." (차 사고에서 살아남아서 다행이야.) 한국어 번역: "차 사고에서 살아남아서 다행이야."
- "Good that"과 "It's good that"의 문법적 차이: "Good that..."은 불완전한 문장입니다. 항상 "It's good that..."로 시작해야 합니다. 잘못된 예시: "Good that you brought an umbrella." (네가 우산을 가져와서 좋다.) 한국어 번역: "네가 우산을 가져와서 좋다." 올바른 예시: "It's good that you brought an umbrella." (네가 우산을 가져와서 다행이야.) 한국어 번역: "네가 우산을 가져와서 다행이야."
Kylian AI로 24시간 개인 영어 수업 받기
Kylian은 언제 어디서나 개인 영어 수업을 제공합니다. 배우고 싶은 주제를 입력하면 Kylian이 구조화된 수업을 만들어 드립니다. 수업 중에 Kylian은 주제에 대해 알아야 할 것, 뉘앙스, 한국어와 영어의 문화적 차이, 그리고 문법 규칙을 가르쳐 드립니다.
더 중요한 것은 Kylian과 함께 롤플레이를 통해 영어 회화와 발음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원하는 만큼 많은 질문을 Kylian에게 할 수 있습니다. 지금 Kylian AI를 시도해 보세요.
Similar Content You Might Want To Read

'a couple of'는 딱 2를 의미하는 건가요?
영어에서 'a couple of'라는 표현을 들었는데 정확히 무슨 뜻인지 헷갈리시나요? 걱정하지 마세요. 이 표현은 영어에서 매우 자주 사용되며, 문자 그대로 '두 개'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상황에 따라 조금 더 유연하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 문장에서 'a couple of'는 '두어 개'나 '두 번쯤' 같은 의미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Which one?’이라는 표현은 사람에게도 사용 가능한가요?
영어 원어민들이 'Which one?'이라고 말하는 것을 들어봤지만 정확히 사람에게도 사용할 수 있는지 궁금하신가요? 걱정 마세요. 영어에서 'Which one?'은 여러 선택지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거나 특정할 때 사용하는 표현으로, 물건뿐만 아니라 사람에게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Which one?'의 정확한 의미와 다양한 상황에서의 사용법, 특히 사람에게 적용할 때의 뉘앙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What’s the problem’이 ‘문제가 뭐야?’라는 뜻으로 자연스러울까요?
영어 원어민들이 'What’s the problem'이라고 말하는 것을 들었는데 그 의미를 잘 모르겠나요? 걱정하지 마세요. 영어에서 'What’s the problem'은 "무슨 문제야?" 또는 "문제가 뭐야?"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 표현은 상대방에게 어떤 문제가 있는지, 또는 무슨 일이 잘못되었는지를 물을 때 사용됩니다.

'Then'이 '그렇다면'이라는 뜻으로 어떻게 사용되나요?
영어 원어민들이 'then'을 사용하는 것을 들어보셨지만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모르시나요? 걱정하지 마세요. 'Then'은 '그렇다면'이라는 의미로 조건이나 가정의 결과를 나타내는 데 자주 사용됩니다.

부모님을 영어로 어떻게 표현하면 자연스러울까요?
영어 원어민들이 부모님을 지칭할 때 다양한 표현을 사용하는 것을 들어봤지만 정확한 의미와 사용법을 모르시나요? 걱정 마세요. 영어에서 '부모님'을 표현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각각 다른 상황과 뉘앙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3층에 있어’를 영어로 ‘It’s on the third floor.’라고 하는 이유가 뭔가요?
영어 원어민들이 ‘It’s on the third floor.’라고 말할 때, 그 의미를 잘 모르시겠나요? 걱정하지 마세요. 이 표현은 특정 위치를 설명할 때 사용되는 영어 문장입니다. 한국어로 ‘3층에 있어’라는 뜻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