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말이 그 말이야, 내가 하고 싶은 말이야’ 영어로?

Written by
Ernest Bio Bogore

Reviewed by
Ibrahim Litinine

영어 원어민들이 "That's what I'm saying" 또는 "That's what I mean"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을 들어본 적이 있지만 정확히 무슨 뜻인지 모르시나요? 걱정 마세요. 한국어로 "내 말이 그 말이야" 또는 "내가 하고 싶은 말이야"라고 표현하는 것과 비슷한 의미를 가진 영어 표현들을 알아보겠습니다.
'내 말이 그 말이야'가 사용되는 맥락은 무엇인가요?
이 표현은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되며, 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식으로 활용됩니다:
- 동의 표현: 상대방이 말한 내용에 강하게 동의할 때 사용합니다. 이는 단순한 "네"나 "맞아요"보다 더 강한 공감을 나타냅니다. 상대방이 여러분의 생각과 일치하는 의견을 말했을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예시: "The traffic was terrible this morning." "That's what I'm saying! It took me an hour to get here." 한국어 번역: "오늘 아침 교통체증이 정말 심했어." "내 말이! 나도 여기 오는 데 한 시간이나 걸렸어."
- 재확인: 이전에 언급했던 자신의 주장이나 관점을 다시 강조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종종 "내가 아까 그랬잖아"라는 느낌을 전달합니다. 예시: "We should have left earlier." "That's what I meant when I said we needed to be ready by 7!" 한국어 번역: "우리 더 일찍 출발했어야 했는데." "내가 7시까지 준비해야 한다고 했을 때 그 말이었잖아!"
- 명확화: 상대방이 여러분의 말을 오해했을 때, 원래 의도했던 의미를 명확히 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예시: "Oh, so you want us to finish the project by Friday?" "That's what I'm saying. The deadline is this week." 한국어 번역: "아, 그럼 금요일까지 프로젝트를 끝내길 원하시는 거예요?" "맞아요, 내 말이 그거예요. 마감일이 이번 주예요."
원어민처럼 '내 말이 그 말이야'를 사용하는 방법과 예시
이 표현을 원어민처럼 자연스럽게 사용하려면 문법적 구조와 뉘앙스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That's what I'm saying" - 현재 진행형으로, 지금 이 순간 강조하고 있는 생각을 표현합니다. 예시: "The service at that restaurant is so slow." "That's what I'm saying! We waited for an hour last time." 한국어 번역: "그 레스토랑 서비스가 너무 느려." "내 말이! 지난번에도 한 시간이나 기다렸잖아."
- "That's what I meant" - 과거형으로, 이전에 했던 말의 의도를 명확히 할 때 사용합니다. 예시: "So we need to focus on quality, not speed?" "That's what I meant by 'doing it right the first time'." 한국어 번역: "그럼 속도보다 품질에 집중해야 한다는 거죠?" "맞아요, 내가 '처음부터 제대로 하자'라고 했을 때 그 뜻이었어요."
- "Exactly what I was thinking" - 완전한 동의를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예시: "I think we should try the new approach." "That's exactly what I was thinking!" 한국어 번역: "새로운 접근 방식을 시도해 봐야 할 것 같아." "나도 정확히 그렇게 생각하고 있었어!"
'내 말이 그 말이야' 대신 사용할 수 있는 4가지 표현
- "Exactly!" - 간결하게 강한 동의를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예시: "The meeting was completely unnecessary." "Exactly! We could have done it all by email." 한국어 번역: "그 회의는 완전히 불필요했어." "정확해! 이메일로 다 할 수 있었는데."
- "You took the words right out of my mouth" - 상대방이 자신이 하려던 말을 정확히 해줬을 때 사용합니다. 예시: "I think we need to reconsider the entire strategy." "You took the words right out of my mouth. I was about to suggest the same thing." 한국어 번역: "우리는 전체 전략을 재고해봐야 할 것 같아." "내가 하려던 말이야. 나도 같은 제안을 하려고 했어."
- "Precisely what I mean" - 보다 공식적인 상황에서 동의를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예시: "The data suggests we need a more targeted approach." "Precisely what I mean. We can't continue with the current method." 한국어 번역: "데이터에 따르면 우리는 더 타겟팅된 접근이 필요해." "내 말이 바로 그거야. 현재 방식으로는 계속할 수 없어."
- "My point exactly" - 자신의 주장이 확인되었을 때 사용합니다. 예시: "The new system is actually slower than the old one." "My point exactly! That's why I was hesitant about the upgrade." 한국어 번역: "새 시스템이 실제로 이전 것보다 더 느려." "내가 그 말을 하고 싶었어! 그래서 내가 업그레이드에 대해 망설였던 거야."
공식적 및 비공식적 상황에서 '내 말이 그 말이야' 사용법
공식적 상황:
- 비즈니스 회의에서: 예시: "So your analysis shows we should focus on the Asian market?" "That's precisely what I'm suggesting. The growth potential there is significant." 한국어 번역: "그럼 당신의 분석에 따르면 우리는 아시아 시장에 집중해야 한다는 건가요?" "네, 제가 제안하는 것이 바로 그것입니다. 그곳의 성장 잠재력이 상당합니다."
- 학술 토론에서: 예시: "Your research complements my findings on climate impact." "That's what I meant to highlight. Our studies are actually supporting each other." 한국어 번역: "당신의 연구는 기후 영향에 대한 내 연구 결과를 보완합니다." "제가 강조하고자 했던 것이 바로 그것입니다. 우리의 연구는 실제로 서로를 지지하고 있습니다."
비공식적 상황:
- 친구와의 영화 토론에서: 예시: "The ending was so disappointing!" "That's what I'm saying! They completely ruined the character's arc." 한국어 번역: "결말이 너무 실망스러웠어!" "내 말이! 그들은 캐릭터의 성장 과정을 완전히 망쳤어."
- 가족 모임에서 식당 선택할 때: 예시: "Maybe we should try something different this time?" "That's what I mean! We always go to the same places." 한국어 번역: "이번에는 다른 것을 시도해 볼까?" "내 말이 그거야! 우리는 항상 같은 곳만 가잖아."
'내 말이 그 말이야' 사용 시 피해야 할 일반적인 실수
- 잘못된 시제 사용: 'That's what I saying'은 문법적으로 잘못되었습니다. 올바른 표현은 'That's what I'm saying'(현재) 또는 'That's what I was saying'(과거)입니다. 예시 (잘못된 사용): "That's what I saying all along!" 올바른 사용: "That's what I've been saying all along!" 한국어 번역: "내가 계속 그렇게 말해왔잖아!"
- 부적절한 맥락에서의 사용: 새로운 정보나 이전에 언급되지 않은 아이디어를 도입할 때는 이 표현이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미 논의된 내용에 대한 동의나 강조를 표현할 때 사용해야 합니다. 예시 (부적절한 사용): "We should go to Paris next summer." "That's what I'm saying." (이전에 파리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면) 한국어 번역: "우리 다음 여름에 파리에 가야 해." "내 말이." (이전에 파리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면 부적절)
Kylian AI로 24시간 개인 영어 수업 받기
Kylian은 언제 어디서나 개인 영어 레슨을 제공합니다. 배우고 싶은 주제를 입력하면 Kylian이 구조화된 레슨을 만들어 드립니다. 수업 중에 Kylian은 해당 주제에 대해 알아야 할 내용, 뉘앙스, 한국과 영어 사이의 문화적 차이, 그리고 문법 규칙을 가르쳐 드립니다.
더 중요한 것은, Kylian과 함께 롤플레이를 통해 영어 회화와 발음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원하는 만큼 Kylian에게 질문할 수 있습니다. 지금 Kylian AI를 시도해보세요.
Similar Content You Might Want To Read

식당에서 'Do you take walk-ins?'라는 표현은 무슨 뜻인가요?
식당에서 영어 원어민들이 'Do you take walk-ins?'라고 말하는 것을 들어보셨나요? 걱정하지 마세요. 이 표현은 식당에서 '예약 없이도 손님을 받나요?'라는 뜻입니다. 특히 북미권에서는 인기 있는 레스토랑의 경우 예약이 필수인 경우가 많아서, 예약 없이 방문했을 때 자리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자주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가끔은 쓸모있는 표현, ‘꺼져’ 영어로 표현하기
여러분은 한국어로 '꺼져'라는 표현을 쓰지만 영어로는 어떻게 말해야 할지 궁금하셨나요? 걱정 마세요. 영어에서 '꺼져'는 상황과 강도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finish work'와 'get off work'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finish work'는 일을 완료하다라는 의미로, 특정 업무나 과제의 완료를 나타냅니다. 반면 'get off work'는 퇴근 시간이 되어 직장이나 일터를 떠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It's not'와 'It isn't'의 차이가 뭔가요?
영어에서 'It's not'는 'It is not'의 축약형이며, 'It isn't'는 'It is not'의 또 다른 축약형입니다. 두 표현 모두 부정문을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Underdog’ 무슨 뜻인지 감도 안 잡힌다고?
영어 원어민들이 'underdog'을 사용하는 것을 들어보셨지만 정확한 의미를 모르시나요? 걱정하지 마세요. 영어에서 'underdog'은 '약자', '열세에 있는 사람이나 팀', '승산이 없어 보이는 참가자'를 의미합니다.

영어 신조어 GOAT 무슨 뜻일까?
영어 원어민들이 'GOAT'라고 하는 걸 들어보셨지만 무슨 뜻인지 모르시나요? 걱정 마세요. 영어에서 'GOAT'는 'Greatest Of All Time'의 약자로, '역대 최고'라는 뜻의 신조어입니다. 요즘 소셜미디어와 일상 대화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표현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