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찮아’ 영어로? 상황에 따른 3가지 표현 알아보기

Written by
Ernest Bio Bogore

Reviewed by
Ibrahim Litinine

영어를 배우는 한국인이라면 '귀찮아'라는 표현의 영어 번역이 궁금할 수 있습니다. '귀찮아'라는 단어는 특정 상황에 따라 다양한 영어 표현으로 번역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귀찮아'의 영어 표현과 사용 방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귀찮아'는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나요?
'귀찮아'라는 표현은 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사소한 일에 대한 불쾌감: 예를 들어, "방 청소가 귀찮아." 이 경우, 영어로는 "Cleaning the room is a hassle."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예문) "Cleaning the room is a hassle." / "방 청소하는 게 귀찮아."
- 반복적인 일에 대한 지루함: 예를 들어, "매일 같은 일을 하는 게 귀찮아." 이 경우, 영어로는 "It's tedious doing the same thing every day."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예문) "It's tedious doing the same thing every day." / "매일 똑같은 일을 하는 게 지루해."
- 상황을 피하고 싶을 때: 예를 들어, "그 모임에 가는 게 귀찮아." 이 경우, 영어로는 "I don't feel like going to that meeting."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예문) "I don't feel like going to that meeting." / "그 모임에 가고 싶지 않아."
'귀찮아'를 원어민처럼 사용하는 방법과 예시
영어에서 '귀찮아'를 표현할 때, 문법적인 구조와 미묘한 뉘앙스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몇 가지 문장 구조입니다:
- It is a hassle + to 동사: "It's a hassle to wake up early." / "일찍 일어나는 게 귀찮아."
- I don't feel like + 동명사: "I don't feel like cooking tonight." / "오늘 밤 요리하기 귀찮아."
- Subject + is tedious: "Studying late at night is tedious." / "밤늦게 공부하는 게 지루해."
'귀찮아' 대신 사용할 수 있는 4가지 다른 표현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귀찮아'의 대체 표현을 알아보겠습니다:
- Annoying: (예문) "His constant questions are annoying." / "그의 끊임없는 질문이 짜증나요."
- Bothersome: (예문) "The noise from the construction is bothersome." / "공사 소음이 귀찮아요."
- Tedious: (예문) "Filing taxes is tedious." / "세금 신고하는 게 지루해요."
- Uninteresting: (예문) "The lecture was uninteresting." / "강의가 흥미롭지 않았어요."
공식적 및 비공식적 상황에서 '귀찮아' 사용하기
다양한 상황에서 '귀찮아'라는 표현을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 공식적 상황 1: 비즈니스 미팅
(예문) "I find the endless meetings quite tedious." / "끝없는 회의가 지루해요." - 공식적 상황 2: 이메일 작성
(예문) "Responding to all these emails is a bit of a hassle." / "이 모든 이메일에 답장하는 게 약간 번거로워요." - 비공식적 상황 1: 친구와의 대화
(예문) "I don't feel like going out tonight." / "오늘 밤 외출하기 귀찮아." - 비공식적 상황 2: 가족과의 대화
(예문) "Cleaning the garage is annoying." / "차고 청소하는 게 짜증나."
'귀찮아'를 사용할 때 피해야 할 일반적인 실수
'귀찮아'를 영어로 표현할 때 흔히 저지르는 실수를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문맥에 맞지 않는 단어 사용: 예를 들어, 'boring'은 '지루한'이라는 뜻으로 다른 의미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 잘못된 예) "This task is boring." / "이 작업은 지루해."
- 올바른 예) "This task is tedious." / "이 작업은 지루해요."
- 동사의 형태 잘못 사용: 'feel like' 뒤에 동명사를 사용해야 합니다.
- 잘못된 예) "I don't feel like to go." / "나가기 귀찮아."
- 올바른 예) "I don't feel like going." / "나가기 귀찮아."
24/7 프라이빗 영어 수업을 Kylian AI로 받기
Kylian은 언제 어디서나 프라이빗 영어 수업을 제공합니다. 배우고 싶은 주제를 입력하면 Kylian이 구조화된 수업을 만들어 줍니다. 수업 중에는 주제에 대한 필수 정보를 배우고, 한국어와 영어의 문화적 차이와 문법 규칙을 익힐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Kylian과의 역할극을 통해 영어 회화 능력과 발음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무한대로 질문할 수도 있습니다. Kylian AI를 지금 사용해 보세요.
Similar Content You Might Want To Read

가끔은 쓸모있는 표현, ‘꺼져’ 영어로 표현하기
여러분은 한국어로 '꺼져'라는 표현을 쓰지만 영어로는 어떻게 말해야 할지 궁금하셨나요? 걱정 마세요. 영어에서 '꺼져'는 상황과 강도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Implement'과 'Implementation'의 차이가 뭔가요?
영어에서 'Implement'는 계획이나 아이디어를 실행에 옮기거나 실현하는 동사입니다. 반면 'Implementation'은 그 실행 과정이나 구현 자체를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lying on bed'와 'lying in bed'의 차이가 있나요?
'lying on bed'는 침대 위에 눕는 동작이나 상태를 의미하며, 'lying in bed'는 이불을 덮고 누워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No worries'와 'Don't worry'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영어에서 'No worries'는 "괜찮아요" 또는 "신경 쓰지 마세요"라는 의미로 주로 캐주얼한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Don't worry'는 "걱정하지 마세요"라는 뜻으로, 상대방을 안심시키거나 걱정을 덜어주고자 할 때 사용됩니다.

'although'와 'though'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although'와 'though'는 둘 다 영어에서 '~임에도 불구하고'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although'는 보다 공식적인 맥락에서 사용되는 접속사이며, 'though'는 일상적인 대화에서 자주 사용되는 접속사입니다.

‘듣다’라고 할 때 ‘listen’이 아니라 ‘listen to’를 쓰는 이유는 뭔가요?
영어에서 'listen'은 '듣는 행위' 자체를 의미하는 동사로, 단순히 소리를 인식하는 능력이나 행동을 나타냅니다. 반면에 'listen to'는 '~를 듣다'라는 의미로, 특정 대상(사람, 음악, 소리 등)을 주의 깊게 듣는 행위를 나타냅니다. 한국어에서는 둘 다 '듣다'로 번역되지만, 영어에서는 사용법과 의미에 미묘한 차이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