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d to'와 'would'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Ernest Bio Bogore

Written by

Ernest Bio Bogore

Ibrahim Litinine

Reviewed by

Ibrahim Litinine

'used to'와 'would'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영어에서 'used to'는 과거의 습관적인 행동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표현이며, 'would'도 과거의 반복적인 행동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두 표현 모두 한국어로는 '~했었다' 또는 '~하곤 했다'로 번역될 수 있습니다.

'used to'와 'would'의 주요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used to'는 과거의 상태나 습관을 표현하면서 현재는 더 이상 그렇지 않다는 의미를 내포합니다. 반면 'would'는 오직 과거의 반복적인 행동만을 표현할 수 있으며, 상태를 설명할 수 없습니다.

예시:

  • I used to live in Busan (과거 상태: 부산에 살았었다)
  • I would visit my grandmother every Sunday (과거 행동: 매주 일요일 할머니를 찾아뵈었다)
  • I used to be afraid of dogs (○) / I would be afraid of dogs (✗)

'used to'와 'would'는 어떻게, 언제 사용하나요?

'used to'의 사용:

  • 과거의 상태나 성질을 표현할 때: "그는 키가 작았었다" (He used to be short)
  • 현재와 대비되는 과거의 습관을 강조할 때: "전에는 커피를 매일 마셨는데 이제는 안 마셔요" (I used to drink coffee every day, but now I don't)

'would'의 사용:

  • 과거의 정기적인 행동을 회상할 때: "어렸을 때 매일 아침 일찍 일어나곤 했어요" (When I was young, I would wake up early every morning)
  • 누군가의 과거 습관을 설명할 때: "할아버지는 저녁마다 동화책을 읽어주곤 하셨어요" (Grandfather would read us stories every evening)

'used to'와 'would'를 사용하는 실제 상황 예시

'used to' 사용 예시:

  1. 비즈니스 상황: "우리 회사는 예전에 수작업으로 문서를 처리했었어요" (Our company used to process documents manually)
  2. 일상적인 상황: "대학 시절에는 기숙사에 살았었어요" (I used to live in a dormitory during college)

'would' 사용 예시:

  1. 비즈니스 상황: "이전 직장에서는 매주 금요일마다 팀 미팅을 하곤 했어요" (At my previous job, we would have team meetings every Friday)
  2. 일상적인 상황: "어린 시절에는 방과 후에 항상 공원에서 놀곤 했어요" (After school, I would always play in the park)

'used to'와 'would' 사용 시 주의할 점

  1. 'used to'를 부정문으로 만들 때는 'didn't use to'를 사용합니다 (didn't used to ✗)
  2. 'would'는 과거의 상태나 성질을 설명할 때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예전에는 머리가 길었다"는 "I used to have long hair"라고 해야 하며, "I would have long hair"라고 하면 안 됩니다.

'used to'와 'would' 대신 사용할 수 있는 4가지 표현

'used to' 대신 사용할 수 있는 표현:

  1. "was/were always + ~ing": "항상 운동을 했었어요" (I was always exercising)
  2. "in the past": "과거에는 매일 아침을 먹었어요" (In the past, I ate breakfast every day)

'would' 대신 사용할 수 있는 표현:

  1. "kept + ~ing": "계속 같은 실수를 반복했어요" (He kept making the same mistakes)
  2. "regularly/frequently + past tense": "정기적으로 도서관에 갔어요" (I regularly went to the library)

24시간 언제든 Kylian AI로 영어 개인 레슨 받기

Kylian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영어 개인 레슨을 제공합니다. 학습하고 싶은 주제를 입력하면 Kylian이 구조화된 레슨을 만들어드립니다. 수업 중에는 해당 주제에 대한 필수 지식, 뉘앙스, 한영 문화 차이, 문법 규칙을 배울 수 있습니다.

더욱 중요한 것은 Kylian과 함께 롤플레이를 하면서 영어 회화와 발음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원하는 만큼 질문을 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Kylian AI를 시작해보세요.

Similar Content You Might Want To Read

'Go to bed'와 'Go to sleep'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Go to bed'와 'Go to sleep'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영어에서 'go to bed'는 잠자리에 들어가는 물리적인 행동을 의미하며, 'go to sleep'은 실제로 잠드는 생리적인 상태 변화를 의미합니다.

'have', 'has', 'had'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have', 'has', 'had'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영어에서 'have'는 소유하다, 가지다의 의미로 사용되며, 'has'는 3인칭 단수 현재형이고, 'had'는 과거형입니다. 이 세 단어는 영어의 기본적인 동사 중 하나인 'have'의 다양한 형태입니다.

'boring'과 'bored'의 차이가 뭔가요?

'boring'과 'bored'의 차이가 뭔가요?

영어에서 'boring'은 지루함을 유발하는 상태나 특성을 의미하며, 'bored'는 지루함을 느끼는 감정 상태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영화가 'boring'할 수 있고, 그 영화를 보는 사람이 'bored'할 수 있습니다.

'lying on bed'와 'lying in bed'의 차이가 있나요?

'lying on bed'와 'lying in bed'의 차이가 있나요?

'lying on bed'는 침대 위에 눕는 동작이나 상태를 의미하며, 'lying in bed'는 이불을 덮고 누워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what else'와 'what'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what else'와 'what'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영어에서 'what'은 무엇, 어떤 것을 의미하는 기본적인 의문사입니다. 반면 'what else'는 '그 외에 무엇이 더' 또는 '다른 것은 무엇'을 의미합니다.

'get started'와 'start'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get started'와 'start'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영어에서 'get started'는 어떤 일이나 활동을 시작하는 과정에 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start'는 단순히 무언가를 시작하는 행위를 나타냅니다.